정답~ 오래된 맥주란 뜻이 아니랍니다
올드 에일(Old Ale)은 옛날식 맥주라는 의미가 아닌, 오랜 숙성기간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영국이 원산지인 올드 에일은 18~19 세기에 주로 만들어지기 시작했다고 추정되며, 색상은 어두운 색을 주로 띠나 스타우트처럼의 시커멈이 아닌 검붉으며 브랜드에 따라 4%~12%의 편차 높은 알코올 도수를 보이기도 합니다. 올드 에일의 다른 이름으론 Stock Ale, Keeping Ale이 있는데, 이들은 저장, 비축과 관련된 의미로서 사용되고 있죠.
영국에는 마일드(Mild) 에일이란 부류의 맥주가 있는데, 이름처럼 온화하고 자극적이지 않은 맛의 에일입니다. 마일드 에일의 무난함에 지루해진 사람들을 위해 약간 자극적인 에일을 섞어 과일처럼 달고 신맛을 손님들이 느낄 수 있게 펍(Pub)에서 제공했다고 하며, 블렌딩에 사용된 맥주는 Stock Ale이라고 합니다.
Stock Ale 은 오랜시간의 나무통(Wooden Cask) 숙성을 통해서 만들어지는 맥주였는데, 점점 '저장'의 의미에서 '오랜(숙성)' 쪽으로 이름이 전환되면서 '올드 에일'로 불리게 됩니다. 이외의 다른 속설로는 영 비어와 장기 숙성 맥주를 섞은 맥주라 '올드 에일'이라 칭해졌다고도 합니다.
올드 에일은 짙은 어두운 색상과 무게감, 그리고 올드(Old)가 주는 어감 등에서 왠지 모르게 심연의 깊은 맛을 선사할 것 같지만 의외로 씁쓸함은 적으면서 과일 맛이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맥아(Malt) 적임과 산미가 유난히 돋보이는 스타일입니다.
브레타노미스(brettanomyces)란 효모의 한 종은 젖산과 유산균을 품고있어 요구르트와 같은 맛을 내는데, 오크 나무통에서 서식하는 것을 좋아하는 효모입니다. 모든 '올드 에일'에 브라타노미스가 관여하지는 않았다지만 런던 지역에서는 이를 배양시켜 올드에 일에 사용했다고 합니다.
맥주 공정중에 처음 발견되고 훗날 와인에서도 발견되었으며, 현재는 몇몇 와인에서 특수한 향미를 낼 때 많이 사용되는 효모라는군요.
맥주에서도 브레타노미스 사용되는 종류가 있는데, 벨기에의 자연발효 맥주 람빅(Lambic)에서 사용된다고 합니다. Brettanomyces lambicus, Brettanomyces bruxelliensis 등도 브레타노미스 효묘의 일종으로 발견지역 이름에 따라 명명되었으며, 주로 양조장 주위의 나무통들에서 발견된 야생 효모였습니다 (by 네이버 오픈백과).
전통적인 람빅들의 맛에서는 아주 강력하고 짜릿한 산미가 뿜어지는데, 람빅에 가장 큰 관여를 하는 발효 시의 야생 효모들이 만들어낸 맛이죠.
올드 에일은 마일드(Mild) 에일과의 혼합과정으로 산미가 마일드함에 많이 중화되어 깊고 진한 느낌과 과일스러운 상큼함을 동시에 누릴 수 있게 된 제품인데, 벨기에 플랜더스의 Oud Bruin 이란 스타일의 맥주가 올드 에일과 풍미와 알코올 도수, 색상 등에서 공통점을 드러냅니다.
벨기에 북부 플랜더스 지역과 잉글랜드 섬은 멀지 않으니 두 맥주의 기원을 파헤쳐 올라가 보면 왠지 같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올드 피큘리어와 풀러스의 빈티지 에일, Prize Old Ale 등이 올드 에일로, 현재 우리나라에 정식으로 소개된 올드 에일은 하나도 없답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을 글
'Beer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주종류] 벨기에 밀맥주 스타일, 벨지안 화이트(Witbier) (0) | 2021.08.05 |
---|---|
[맥주종류] 그냥 자연이 발효시켜준 신의맥주 : 람빅(Lambic) (1) | 2021.08.03 |
[맥주종류] 할로윈 전용 맥주, 이름하야 펌킨에일(Pumpkin ale) (0) | 2021.07.26 |
[맥주종류] 독일의 옥토버페스트 맥주 (0) | 2021.07.25 |
[맥주종류] 대중적으로 가장 친숙한 부가물 라거 (0) | 2021.07.22 |